홍릉 ()

조선시슬롯사이트 볼트카지노메이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 제26슬롯사이트 볼트카지노메이저; 고종과 명성황후의 합장릉.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고종|명성황후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남양주 홍릉과 유릉(南楊州 洪陵과 裕陵)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70년 05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기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 (금곡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홍릉(洪陵)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 제26대 고종과 명성황후의 합장릉이다. 왼쪽에 순종의 유릉이 조성되어 홍유릉이라고도 불리며, 1970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명성황후의 첫 능역은 동구릉 안으로 정하고 숙릉이라 하였으나, 1897년에 청량리에 재조성하고 능호를 홍릉이라 변경하였다. 1919년에 금곡에 고종을 국장하면서 명성황후를 다시 옮겨와 합장릉으로 조성하고 홍릉이라 하였다. 대한제국기에 황제릉의 격식을 갖추었다.

정의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 제26슬롯사이트 볼트카지노메이저; 고종과 명성황후의 합장릉.
건립 경위

1895년 8월 20일온라인 슬롯BA85;온라인 슬롯C131;온라인 슬롯D669;온라인 슬롯D6C4;토토 바카라 사이트ACBD;토토 바카라 사이트BCF5;토토 바카라 사이트AD81;곤녕합에서 승하하였다. 10월 22일에 능호를 숙릉(肅陵)이라 정하고, 산릉의 터를 동구릉 내꽁 머니 카지노 3 만C22D;꽁 머니 카지노 3 만B989;의 오른쪽 언덕에 결정하였다. 11월 14일부터 공역을 시작하여 한창 이루었으나, 1896년 1월 18일에슬롯사이트ACE0;슬롯사이트C885;에 의해 중단되었다.

1896년 9월 29일에 새로운 터를 모색하였다. 수많은 후보지를 간심한 끝에 12월 7일이 되어서 청량리에 봉표하고 능호를 홍릉(洪陵)으로 변경하였다. 1897년 1월에 다시 산릉의 공역을 시작하였다.

제향 공간은카지노 꽁C815;카지노 꽁C790;카지노 꽁AC01;이 아닌 정면 5칸의 침전으로 건립하였다. 능상에는주1을 갖추고 난간석(欄干石)으로 치장하였으며,카지노 꽁돈B9DD;카지노 꽁돈C8FC;카지노 꽁돈C11D; · 안전한 바카라 사이트C7A5;안전한 바카라 사이트BA85;안전한 바카라 사이트B4F1; · 주2 · 주3 · 주4 · 주5 · 주6등을 갖추었다. 10월 28일에 명성황후의 국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00년 6월부터 다시 천릉을 계획하여 23곳에 이르는 후보지를 살피기 시작하였다. 1900년 8월 24일에 금곡으로 결정하고 30일에 봉표하였으나 공역은 일정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10월 9일에코인 카지노 사이트BC15;코인 카지노 사이트C815;코인 카지노 사이트C591;의 상소로 천릉할 곳을 다시 찾았다. 10월 30일에 군장리에주7하였으나, 한 달 가량 논란이 지속되어 11월 24일이 되서야 확정하였다. 1901년에 홍릉의 석물을 옮기기 시작하였으나 다시 중단되어 1904년에 천릉을 실행하지 못하고카지노사이트추천CC9C;카지노사이트추천B989;카지노사이트추천B3C4;카지노사이트추천AC10;이 폐지되었다.

1919년 1월 21일에 고종의 국상이 일어나자, 금곡에 서북향으로 봉표하고 고종의 황제릉 조성을 시작하였다. 이때 천릉을 진행하다 중단되어 청량리에 있던 명성황후의 능을 옮겨 와 금곡에 합장릉으로 조성하였다.

2월 16일에 명성황후의 재궁을 옮겨주8안에 안치하였다. 3월 4일에 고종의 국장을 거행하여 현궁에 안치하고 밀폐하였다. 이로써 1895년 8월에 명성황후의 국상이 일어난 이후 1919년 고종의 국상까지 오랜 시간 홍릉의 조성 과정이 마무리되었다.

형태와 특징

1919년에 황제릉으로 조성된 홍릉은 조선왕릉의 제도와 다르다. 능상에는 고종과 명성황후를 합장하고 병풍석과 난간석으로 치장하였다. 합장릉이지만,슬롯사이트 볼트D63C;슬롯사이트 볼트C720;슬롯사이트 볼트C11D;은 하나이며주9이 놓여 특이하다. 조선왕릉에는 향로석을 놓지 않고, 사대부 묘의 상석 앞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홍릉에는 향로석을 두었다.

능상에는 망주석과 장명등을 배치하되, 이외의 석상은 침전 앞에 두었다. 제향 공간으로 정자각 대신, 정면 5칸에 측면 4칸 규모의 침전을팔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791;하이 로우 토토 사이트9C0;붕으로 장대하게 세웠다. 전각 내부에는주10를 두어 정자각과는 다르다.

침전 앞마당에는 향어로를 중심에 두고 양쪽으로 문석인 · 무석인 · 기린 · 코끼리 · 해태 · 해치 · 낙타 · 말 순서로 석상을 한 쌍씩 마주 보게 배치하고 석마는 2쌍을 두었다.

의의 및 평가

대한제국기에 고종 황제의 능침으로 침전을 갖추고 황제릉으로 격식을 갖추어 다양한 동물의 석상이 배치되었다. 문 · 무석인의 조각 비례가 인체 비례와 유사하고 섬세하다.

참고문헌

원전

『(명성황후)홍릉산릉도감의궤』(1895)
『고종태황제산릉주감의궤』(1919)

단행본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Ⅸ』(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주석
주1

능(陵)을 보호하기 위하여 능의 위쪽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긴 네모꼴의 넓적한 돌. 겉에 12신(神)이나 꽃무늬 따위를 새긴다.우리말샘

주2

능(陵) 앞에 세우는 문관(文官)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다.우리말샘

주3

능(陵) 앞에 세우는 무관(武官) 형상으로 만든 돌. 능 앞 셋째 줄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하나씩 세운다.우리말샘

주4

왕릉 따위의 앞에 돌로 만들어 세워 놓은 말.우리말샘

주5

왕릉이나 큰 무덤 주위에 돌로 만들어 세운 호랑이.우리말샘

주6

왕릉이나 무덤 앞에 세워 놓은, 돌로 만든 양 모양의 조각물.우리말샘

주7

능(陵) 터를 미리 정하여 흙을 모아 봉분(封墳)을 하고 세우는 표.우리말샘

주8

임금의 관(棺)을 묻던 광중(壙中).우리말샘

주9

무덤 앞에 향로를 올려놓는 네모반듯한 돌. 탁상 모양을 새긴다.우리말샘

주10

궁전 안의 옥좌 위나 법당의 불좌 위에 만들어 다는 집 모형.우리말샘

집필자
신지혜(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연구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