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릉 ()

조선시라바 카지노;사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조선 3라바 카지노; 태종과 원비 원경왕후 민씨의 쌍릉.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태종|원경왕후
높이
13자 7치(약 5.36m)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서울 헌릉과 인릉(서울 獻陵과 仁陵)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70년 05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 (내곡동, 헌인능관리사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헌릉(獻陵)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조선 3대 태종과 원비 원경왕후 민씨의 쌍릉이다. 건립 당시부터 오른편을 비워 두어 쌍릉으로 계획되었으며, 난간석으로 두 능을 하나로 연결하였다. 조선 건국 이래 첫 번째 쌍릉으로 능상 위에 배치되는 문 · 무석인의 수가 다른 능보다 두 배 더 배치되었다. 1856년에 순조의 인릉이 건립되면서 헌인릉으로 불렸다. 사적 정식 명칭은 ‘서울 헌릉과 인릉’이다.

정의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조선 3라바 카지노; 태종과 원비 원경왕후 민씨의 쌍릉.
건립 경위

1420년 7월에바카라 사이트 디시C6D0;바카라 사이트 디시ACBD;바카라 사이트 디시C655;바카라 사이트 디시D6C4;가 승하하자 광주군 대모산 남쪽에 터를 잡았다. 청평부원군슬롯사이트 추천C774;슬롯사이트 추천BC31;슬롯사이트 추천AC15;카지노 입플C0B0;카지노 입플B989;카지노 입플B3C4;카지노 입플AC10; 주1로 삼고,바카라 게임BC15;바카라 게임C790;바카라 게임CCAD;슬롯 사이트C11C;슬롯 사이트C120;으로 제조를 삼았다. 오른편을 비워 두어 후일에무료 바카라 게임D0DC;무료 바카라 게임C885;의 자리를 예비하였으며, 9월 17일에 국장하여 이때부터 능호를 헌릉(獻陵)이라 불렀다.

1422년에 태종이 승하하자 이백강을 산릉도감의 도제조로 임명하고, 박자청과 심보(沈寶)를 제조로 삼았다. 박자청은 인부 1만 명을 동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기근이 심하여 인력을 대폭 줄여 약 2천 명을 동원하되, 소 수백 마리와 수레를 이용하여 해결하도록 하였다. 1422년 9월 6일에 태종의 재궁이 석실에 안치되어 쌍릉으로 완성되었다.

변천

1424년에토토 사이트 추천 디시BCC0;토토 사이트 추천 디시ACC4;토토 사이트 추천 디시B7C9;이 비문을 짓고, 성개(成槪)가 글씨를 쓰고,라이트닝 바카라 사이트 권홍(權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글씨로 전액을 세겨카지노 추천C2E0;카지노 추천B3C4;카지노 추천BE44;를 세웠다. 1694년에토토 가상계좌 디시C219;토토 가상계좌 디시C885;(肅宗, 16611720, 재위 16741720)이 능행하여 보니, 비석의 문자가 마멸되어 새롭게 신도비를 세우고 비각(碑閣)을 갖추었다. 1664년(현종 5)에카지노 꽁C815;카지노 꽁C790;카지노 꽁AC01;을 중건하였으나, 1748년(영조 24)에 다시 고쳐 짓고주2하였다.

1446년에 헌릉의 서쪽에바카라 사이트C138;바카라 사이트C885;(世宗, 13971450, 재위 14181450)과슬롯사이트 추천C18C;슬롯사이트 추천D5CC;슬롯사이트 추천C655;슬롯사이트 추천D6C4;(昭憲王后, 13951446)의 합장릉으로토토 배당C5EC;토토 배당C8FC; 토토 배당C601;토토 배당B989;을 조성하였으나 1469년에 여주로 옮겨졌다. 1856년(철종 7)에사설 카지노C21C;사설 카지노C870;(純祖, 17901834, 재위 1800~1834)의카지노 게임 종류C778;카지노 게임 종류B989;이 천릉하여 서쪽에 자리잡게 되어, 오늘날 헌인릉으로 알려졌다. 사적 정식 명칭은 ‘메이저사이트C11C;메이저사이트C6B8; 메이저사이트D5CC;메이저사이트B989;메이저사이트ACFC; 메이저사이트C778;메이저사이트B989;’으로, 2013년 7월에 ‘탠 카지노C11C;탠 카지노C6B8;’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형태와 특징

원경왕후의 능과 태종의 능은 각각 별도의 석실과 봉릉을 갖춘 동원이봉릉으로 조성되었다. 양릉의 석실 내부는 너비 8자, 높이 7자, 길이 11자로 규모가 같으며, 봉릉의 높이도 13자 7치(약 5.36m)의 같은 높이로

병풍석(屛風石)주3의 면석(面石)에는 구름문양 중심에주4을 조각하여 12방향을 상징하고, 귓돌의 왼쪽에는주5를, 오른쪽에는주6을 조각하였다. 난간석(欄干石)으로 왕과 왕후의 능을 연결하였다. 제향 공간으로 정청(正廳) 3칸에 배위청(配位廳) 2칸 규모의 정자각이 있으며, 동쪽에는주7을 갖추고 2개의 신도비가 나란히 세워졌다.

의의 및 평가

1420년에 원경왕후의 석실을 만들 때 태종은 덮개석의 규모가 매우 커서 채석장에서부터 산릉까지 운반하는 과정에서 부역민이 고통받는 것을 애석히 여겨, 직접 채석장으로 달려가 덮개석을 반으로 조각내었던 일화가 전해진다. 이는 조선 후기까지 전해져서 1개의 큰 돌을 사용할 곳에 반으로 잘라 2개의 돌을 이어 붙여 사용하는 전례가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춘관통고(春官通考)』
『헌릉비석중건청의궤(獻陵碑石重建廳儀軌)』

단행본

『종합학술조사보고서-조선왕릉Ⅰ 고려말 조선초』(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위키실록사전(http://dh.aks.ac.kr/sillokwiki)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중앙에서 각 사(司) 또는 청(廰)의 우두머리가 아니면서 각 관아의 일을 다스리던 직책.우리말샘

주2

기둥에 보를 얹고 그 위에 처마 도리와 중도리를 걸고 마지막으로 마룻대를 올림. 또는 그 일.우리말샘

주3

능(陵)을 보호하기 위하여 능의 위쪽 둘레에 병풍처럼 둘러 세운 긴 네모꼴의 넓적한 돌. 겉에 12신(神)이나 꽃무늬 따위를 새긴다.우리말샘

주4

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열두 마리의 동물, 즉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로 상징된다.우리말샘

주5

자루를 금강저 모양으로 만든 방울. 밀교에서 사용하는 중요한 불구(佛具)이다.우리말샘

주6

얇은 쇠붙이를 속이 비도록 동그랗게 만들어 그 속에 단단한 물건을 넣어서 흔들면 소리가 나는 물건.우리말샘

주7

비를 세우고 비바람 따위를 막기 위하여 그 위를 덮어 지은 집.우리말샘

집필자
신지혜(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연구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