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판본. 1919년 후손 재영(在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권말에 이강호(李康鎬)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1수, 제문 3편, 고유문 3편, 기우문 3편, 서(序) 1편, 상량문 1편, 잡저 3편, 권2는 부록으로 시 4수, 명(銘) 1편, 제문 3편, 행장·장략후서(狀略後敍)·묘갈명·묘지명·가장·사적·상량문 각 1편, 축문 2편, 시 11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몇 수 되지 않으나 시의가 고결해시 게임 바카라 품격이 높고 성당(盛唐)의 운치를 모방해시 게임 바카라 거침이 없다. 「과소공대유감(過召公臺有感)」 2수와 「부차(復次)」 2절은 대표작으로, 소공대를 지나면서 주나라의 학문과 정치와 풍속을 계도해시 게임 바카라 800년의 장구한 세월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소공의 업적을 찬미한 내용이다.
잡저 중 「격암남선생사우고유문(格菴南先生祠宇告由文)」은 조선 중기의 천문학자 남사고(南師古)의 해박한 지식을 찬탄해시 게임 바카라 그를 위한 사우를 지어 봉안한 뜻을 밝힌 것이다.
「죽변기우제문(竹邊祈雨祭文)」·「삼방산기우제문(三方山祈雨祭文)」은 산신이나 수신에게 비를 내려 풍년이 들게 해시 게임 바카라줄 것을 비는 글로, 진신숭앙의 전통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서교접신창후(書校接新創後)」는 서원에서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반을 편성하고 7개 조항의 운영방침을 정한 것이다. 「예의(禮義)」에서는 예라는 것은 악을 교화시켜 선하게 하는 방편이므로, 예의는 잠시도 버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