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군대의 기본편성은 중·전·후·좌·우군의 오군이었는데, 중군은 그 가운데서 중앙에 위치한 부대이다. 그러나 이 오군은 평상시의 군대조직이라기 보다는 전투에 동원하기 위한 편제의 하나로 이해되고 있다.
즉, 오군은 평상시에는 편제상으로만 존재하고 거기에 기간요원들이 배치되어 있다가, 비상시가 되면 원수·부원수 및 각종 병마사 등이 배치되어 지휘체계가 이루어지고, 여기에 6위의 중앙군과 지방의 주진군 등이 징발 배치되어 출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뒤 고려 말에 이르러 군사적인 긴장상태가 오래 계속됨에 따라 오군은 고려 군사조직의 대표적인 존재로 되었다. 오군에 편제된 중군의 직제는 다음과 같다.
병진도지유(兵陣都바카라 도박)·도장교(都將校), 오병도지유(五兵都바카라 도박)·장교도업사(將校都業師), 신기도령(神騎都領)·지유(바카라 도박), 좌경궁도령(左梗弓都領)·지유(바카라 도박), 우경궁도령(右梗弓都領)·지유(바카라 도박), 좌정노도령(左精弩都領)·지유(바카라 도박), 우정노도령(左精弩都領)·지유(바카라 도박), 신보도령(神步都領)·지유(바카라 도박), 석투도령(石投都領)·지유(바카라 도박), 대각도령(大角都領)·지유(바카라 도박), 철수도령(鐵水都領)·지유(바카라 도박), 발화도령(發火都領), 지유(바카라 도박), 도탕도령(跳盪都領)·지유(바카라 도박), 강노도령(剛弩都領)·지유(바카라 도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