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인 ()

이재집
이재집
고전시가
인물
조선 후기에, 함경도경성판관, 경성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여익(汝益)
매호(梅湖), 이재(頤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1년(명종 16)
사망 연도
1625년(인조 3)
본관
창녕
출생지
예천
주요 관직
함경도경성판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바카라보라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함경도경성판관, 경성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여익(汝益), 호는 매호(梅湖) · 이재(頤齋). 경상도 예천 출생.슬롯 사이트C6B0;슬롯 사이트BD80;슬롯 사이트C2B9;슬롯 사이트C9C0; 카지노 미국C870;카지노 미국ACC4;카지노 미국D615;의 증손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8년(선조 21)에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됐고 1605년에 문과에 급제해 여러 벼슬을 지내다가 1616년(광해군 8)에는 함경도경성판관을 지냈다. 1621년에는주1으로 있으면서슬롯 머신AD11;슬롯 머신D574;슬롯 머신AD70;의 잘못을 풍자했다가 그 글로 말미암아 3년간 옥에 갇혔다.슬롯사이트 지니C778;슬롯사이트 지니C870;의 등극으로 풀려나 상주(尙州)의 매호(梅湖)에서 은거하며 여생을 마쳤다.

시 · 서예 · 음악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특히, 그의 가사집카지노사이트 추천C774에는바카라 찍어먹기 배팅B9E4;바카라 · 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C790;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B3C4;바카라 가상 머니 사이트C0AC; · 슬롯사이트 볼트 추천AD00 · 슬롯사이트 지니CD9C;슬롯사이트 지니C0C8;슬롯사이트 지니ACE1;등 4편의 가사작품이 실려 전한다.

「매호별곡」은 1624년경 그가 노경에 은거하던 상주군 사벌면 매호리에서 자연을 벗하며 한가롭게 살아가는 소박한 선비의 정경을 노래한 작품이다. 「자도사」는 광해군을 풍자했다가 옥고를 치른 그의 나이 61∼63세 때인 1621∼1623년에 지은 것이다. 임금을 사모하는 충성스런 신하의 마음을 노래한 작품이다.

「관동속별곡」은 만년에메이저카지노C815;메이저카지노CCA0;카지노 파칭코AD00;카지노 파칭코B3D9;카지노 파칭코BCC4;카지노 파칭코ACE1;을 읽고 느낀 점 있어 전날 젊은 시절에 유람했던 관동지방을 추억하며 쓴 기행가사다. 내용에서 정철의 「관동별곡」과의 중복을 피하고 새로운 장소를 중심으로 노래하고 있다. 이 가사의 서문에는 「속관동별곡」이라고 하여 이 작품의 이름은 두 가지로 불린다.

「출새곡」은 1616년 가을에 경성부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봄에 변방의 산천풍토와 봄놀이를 두루 즐긴 뒤 쓴 기행가사이다. 서울의슬롯 머신 사이트C11C;슬롯 머신 사이트C6B8; 슬롯 머신 사이트D765;슬롯 머신 사이트C778;슬롯 머신 사이트C9C0;슬롯 머신 사이트BB38;을 떠나 임지인 경성에 다다르기까지의 노정에서 보고 느낀 것과 임지에서의 봄놀이, 그리고 변방의 목민관의 고독감 등을 노래했다. 저술로는 문집토토 꽁머니 지급C774;토토 꽁머니 지급C7AC;토토 꽁머니 지급C9D1;과 가사집카지노사이트 추천C774;카지노사이트 추천C7AC;카지노사이트 추천C601;카지노사이트 추천C5B8;이 있다.

참고문헌

「조우인의 가사집 ‘이재영언’」(김영만, 『어문학』10, 1963)
「관동속별곡」(고경식, 『경희문선』, 1962)
「매호별곡과 자도사」(고경식, 『자유문학』49, 1961)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승문원에 속한 벼슬.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바카라보라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바카라보라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바카라보라]'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