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악(祭樂)이라고도 한다.
조선 말기까지 원구제(圜丘祭)·사직제(社稷祭)·종묘제(宗廟祭)·문묘제(文廟祭), 기타 선농(先農)·선잠(先蠶)·우사(雩祀)·경모궁(景慕宮)·관왕묘(關王廟) 등의 제향이 있어 그에 따른 제례무료 슬롯사이트이 연주되었으나 1910년 이후 거의 폐지되고, 지금까지 전하여지고 있는 것으로는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이 있을 뿐이다.
문묘악은 중국 상고시대에 기원을 둔 아악으로 우리 나라에는 고려 때 들어왔고, 지금도 성균관의 석전(釋奠)에 쓰이고 있다. 이 문묘제례악은 동양 최고(最古)의 무료 슬롯사이트으로 본고장 중국에서는 이미 그 옛모습이 인멸된 지 오래이며, 우리 나라에 비교적 고형(古形)이 전하여 오고 있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왕조의 역대 위패(位牌)를 모시는 종묘의 제사에 쓰이는 제례의식 무료 슬롯사이트으로, 지금 쓰이는 것은 세종 때에 회례악(會禮樂)으로 만들어진 「보태평(保太平)」과 「정대업(定大業)」을 1463년(세조 9)에 개작한 뒤 종묘제례 의식무료 슬롯사이트으로 확정하여 오늘날까지 봉행되어 오고 있는 속악이다.
종묘제례무료 슬롯사이트은 크게 나누어서 「보태평」11곡과 「정대업」11곡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보태평」은 조종(祖宗)의 문덕(文德)을 기리는 내용이며, 「정대업」은 조종의 무공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