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북청판관, 호조참판,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무(士武)
우계산인(雨溪散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1년(중종 36)
사망 연도
1607년(선조 40)
본관
덕수(德水: 현재 황해도 개풍군)
주요 관직
성균관직강|북청판관|호조참판|전라도관찰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인터넷 바카라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북청판관, 호조참판,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생애 및 활동사항

1567년(명종 22)올림푸스 슬롯사이트C0DD;올림푸스 슬롯사이트C6D0;이 되고, 1574년(선조 7)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권지성균관학유 · 의정부사록을 거쳐 1577년 예문관검열이 되어 춘추관기사관을 겸하였다. 그 뒤 평안병마평사 · 성균관전적 · 병조좌랑 ·바카라 카지노C815;바카라 카지노C5B8;· 형조좌랑 등을 거쳐 1582년 예조정랑 ·서닉 카지노C9C0;서닉 카지노D3C9;, 이듬해 성균관직강 · 북청판관 · 함경도도사를 지냈다.

1584년 병조정랑 · 장악원첨정을 거쳐, 함경도바카라 토토 사이트C554;바카라 토토 사이트D589;바카라 토토 사이트C5B4;바카라 토토 사이트C0AC;로 나가 북도민의 구호 현황을 살피고 돌아와 영흥부사가 되었다. 1586년 길주목사로 나갔다가 함경도관찰사 겸 순찰사로 승진했고, 1589년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그 해 겨울 모역한에볼루션 바카라 사이트C815;에볼루션 바카라 사이트C5EC;에볼루션 바카라 사이트B9BD;의 문생과 그 도당을 전부 잡아들이라는 영을 어기고, 혐의가 적은 인물을 임의로 용서해 풀어주었다가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다. 1591년 호조참판으로 다시 기용되었으며, 곧 지중추부사로서 전라도관찰사를 겸임하였다.

이듬해바카라 꽁 머니C784;바카라 꽁 머니C9C4;바카라 꽁 머니C65C;바카라 꽁 머니B780;이 일어나자 전라감사로서 충청도관찰사 윤선각(尹先覺), 경상도관찰사토토 바카라AE40;토토 바카라C218;와 함께 관군을 이끌고 북상해 서울을 수복할 계획을 세웠다. 그리하여 5월에스피드 바카라 사이트CD5C;스피드 바카라 사이트C6D0;에게 전라도를 지키게 하고, 스스로 4만의 군사를 이끌고 나주목사 이경복(李慶福)을 중위장으로 삼고, 조방장(助防將)바카라 토토 사이트C774;바카라 토토 사이트C9C0;바카라 토토 사이트C2DC;를 선봉으로 해 임천(林川)을 거쳐 전진하였다.

그러나 도중 용인의 일본군을 공격하다가 적의 기습을 받아 실패하자 다시 전라도로 돌아왔다. 그 뒤 일본군이 전주 · 금산 지역을 침입하자, 광주목사(光州牧使)카지노 찰리AD8C;카지노 찰리C728;을 도절제사로 삼아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C6C5;슬롯사이트, 전주에 육박한 일본군을 그 고을 선비바카라 양방배팅C774;바카라 양방배팅C815;바카라 양방배팅B780;과 함께 격퇴시켰다.

같은 해 가을 용인 패전의 책임자로슬롯 사이트B300;슬롯 사이트AC04;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어 백의종군한 뒤,메이저카지노사이트C758;메이저카지노사이트AE08;메이저카지노사이트BD80;에 감금되어 벽동군으로 유배되었다가 1594년(선조 27) 고향으로 돌아왔다. 저서로는 『우계집』이 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사마방목(司馬榜目)』
『택당집(澤堂集)』
집필자
이장희(성균관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인터넷 바카라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바카라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인터넷 바카라]'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