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로 자신이 평생에 지은 저서를 모아 손수 편찬한 것이라고 하나, 지금은 일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의 규모는 『고려사』의 이인로 열전에 의하면 원집 20권, 후집 4권의 방대한 저술이었다고 한다.
그 내용은 아들 세황(世黃)의 「파한집발(破閑集跋)」에 의하면, 고부(古賦) 5수, 고시와 율시 1,500여 수였다고 전한다.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권보(權溥)의 묘지명에 “은대시집 20권을 주(註)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권보에 의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 주석작업이 진행된 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목은문고(牧隱文稿)』의 「증김경숙비서시서(贈金敬叔秘書詩序)」라는 글에 “공장(工匠)의 졸렬함과 권질(卷秩)의 무거움은 은대집·상국집(相國集)에서 볼 수 있다.”고 한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과 함께 이 문집은 방대한 저작의 대표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려사』에서는 『쌍명재집(雙明齋集)』 3권, 『파한집』 3권이 세상에 행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진다고 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 조선 초기까지만 에볼루션 카지노 사이트도 이 책이 남아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나, 그 이후에는 그것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다.
기로회(耆老會)에서 지은 잡저만을 묶은 『쌍명재집』, 그리고 당시의 시화·일사인 『파한집』과 함께 이인로의 대표적인 저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