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왕 ()

고대사
인물
고구려의 제2대(재위: 기원전 19년~18년) 왕.
이칭
이칭
유리명왕(瑠璃明王), 유리(類利), 유류(儒留), 누리(累利), 여달(閭達), 여해(閭諧)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8년
출생지
고구려
주요 관직
고구려 제2대 국왕(재위: 기원전 19년∼기원후 18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리왕은 삼국시대 바카라 라바카지노 제2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기원전19~기원후18년이다. 아버지 고주몽을 찾아 기원전 19년(동명왕 19) 4월에 동부여에서 바카라 라바카지노로 와서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그 해 9월 동명왕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 기원전 9년 선비를 쳐서 항복을 받았고 13년 부여의 침략을 물리쳤으며 14년에는 양맥을 쳐서 멸망시키고 한나라의 바카라 라바카지노현을 빼앗는 등 재위 기간에 활발한 정복전쟁으로 영토를 넓혔다. 3년에는 도읍을 홀본에서 국내 지역으로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았다. 계비인 치희를 그리는 「황조가」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정의
고구려의 제2대(재위: 기원전 19년~18년) 왕.
개설

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유리(類利) · 유류(儒留) 또는 누리(累利)라 했고, 『위서(魏書)』바카라 라바카지노전에는 여달(閭達) · 여해(閭諧)라고 적혀 있다.메이저 바카라 사이트B3D9;메이저 바카라 사이트BA85;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131;메이저 바카라 사이트C655;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예씨(禮氏)이고, 왕비는 다물후(多勿侯)카지노 꽁돈C1A1;카지노 꽁돈C591;의 딸이다. 아버지 고주몽을 찾아 서기전 19년(동명왕 19) 4월에 동부여(東夫餘)에서 바카라 라바카지노로 와서 곧바로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그 해 9월 동명성왕이 사망하자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활발한 정복전쟁으로 영토를 넓혔으며 바카라 라바카지노왕국의 초석을 다졌다.

생애 / 활동사항

서기전 17년(유리왕 3)에는 계비인바카라 규칙E58;희를 그리는카지노 슬롯 머신D669;카지노 슬롯 머신C870;카지노 슬롯 머신AC00;를 지었고 한다. 서기전 9년에는 선비(鮮卑)를 쳐서 항복을 받았다. 서기 3년에는 도읍을 홀본(忽本)에서 국내(國內) 지역으로 옮기고카지노 게임 종류C704;카지노 게임 종류B098;카지노 게임 종류C554;카지노 게임 종류C131;을 쌓았다. 그러나 바카라 라바카지노가 유리왕대에 국내 위나암으로 천도하였다는 삼국사기 기록의 사실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들도 있다.

12년에는 중국의주1이 흉노(匈奴)를 정벌하기 위해 바카라 라바카지노 군사의 출동을 요구했으나 이를 거부하고 오히려 왕망의 신(新)나라를 공격하자 왕망은 유리왕을 ‘하구려후(下句麗侯)’라고 비칭(卑稱)하였다. 13년에 부여(夫餘)가 침범했으나 대패시켰으며, 이듬해에는토토 신규가입꽁머니C591;토토 신규가입꽁머니B9E5;을 쳐서 멸망시키고 한나라의 바카라 라바카지노현(高句麗縣)을 빼앗았다. 18년 두곡(豆谷)메이저카지노C774;메이저카지노AD81;에서 사망했으며 두곡 동원(東原)에 장사지냈다.

왕자도지니 카지노808;을 태자로 삼았으나 1년에 사망하고, 4년에 다시 왕자2025년 슬롯사이트D574;2025년 슬롯사이트BA85;을 태자로 삼았으나 그가 외국과 분쟁을 일으키자 자결시켰다. 그 뒤 14년 왕자 무휼(無恤)을 태자로 책립, 18년에 유리왕이 사망하자토토 사이트 바카라B300;토토 사이트 바카라BB34;토토 사이트 바카라C2E0;토토 사이트 바카라C655;으로 즉위하였다.

상훈과 추모

유리왕과 주몽의 관계는 부자관계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유리왕은 개인적인 성격이나 정치적 세력 · 활동 등 여러 면에서 주몽과 대등한 능력과 실력을 갖추었고 주몽과 대응관계에 있는 인물로 여겨 유리왕과 주몽을 부자관계가 아닌 것으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이런 근거로카지노 양상수0BC;국카지노 양상수0AC;기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0BC;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AD6D;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720;토토 사이트 계좌 매입 디시C0AC;에 의하면 동명왕의 성(姓)은 고씨(高氏)로, 유리왕 이하 제5대모본슬롯 사이트 슬롯사이트655;까지는 해씨(解氏), 그리고 제6대카지노 룰렛 룰D0DC;카지노 룰렛 룰C870;카지노 룰렛 룰C655;이후는 다시 고씨로 되어 있다는 것을 들고 있다. 또한 태조왕 이후의 고씨 왕들만 바카라 라바카지노의 시조인 주몽에 대한 제사를 지냈다고 보기도 한다.

이렇게 혈통이 다른 것을 바카라 라바카지노의 왕실이슬롯사이트 보스C18C;슬롯사이트 보스B178;슬롯사이트 보스BD80;에서메이저카지노ACC4;메이저카지노B8E8;메이저카지노BD80;로 바뀌었다고 보기도 한다. 즉 바카라 라바카지노 초기에는 유리왕계의 소노부 해씨세력이 왕위를 계승하다가, 뒤에 태조왕 때 계루부 고씨가 왕위를 계승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계루부 왕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계루부의 조상인 주몽을 소노부 해씨의 조상인 유리왕 앞에 올려놓고 주몽을 개국시조로 삼았다고 보는 것이다. 최근에는 주몽과 유리왕, 태조왕이 각각 성씨가 달랐으며, 바카라 라바카지노 초기 왕계를 신라처럼 3성 교대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후대까지 주몽과 유리왕이 초기 왕계에 편입되어 숭앙되었다는 점에서 이들 모두 계루부 내의 각기 다른 씨족집단 출신일 뿐 왕위 교체는 없었다고 보기도 한다. 『후한서(後漢書)』와 『삼국지(三國志)』에 나타나는 소노부에서 계루부로의 왕실교체는 주몽시대 이전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소노부 해씨는 송양왕(松讓王)의 비류국(沸流國)이거나 그 외의 다른 소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왕계는 대체적으로카지노 슬롯머신 게임18C;카지노 슬롯머신 게임218;림카지노 슬롯머신 게임655;대에 1차적으로 연결 · 정리되었다고 보며, 이후에도 몇 차례에 걸친 왕계 정리 작업에 의해 『삼국사기』의 왕계가 성립된 것으로 본다. 각각의 왕계 정리 작업은 당시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대체로 계루부 왕실의 신성화 및 계루부 내 결속을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동명왕편(東明王篇)』
「바카라 라바카지노 국가 형성기의 왕계」(김기흥, 『바카라 라바카지노의 국가 형성』, 2005)
「바카라 라바카지노 왕호(王號)의 변천과 성격」(임기환, 『한국고대사연구』28, 2002)
「바카라 라바카지노 계루부(高句麗 桂婁部)의 왕실교체(王室交替)에 대하여」(강경구, 『한국상고사학보(韓國上古史學報)』30, 1999)
『바카라 라바카지노사 연구』(노태돈, 사계절, 1999)
「바카라 라바카지노유리왕고(高句麗琉璃王考)」(김용선, 『역사학보(歷史學報)』87, 1980)
「바카라 라바카지노국호고(高句麗國號考)」(이병도, 『서울대학교논문집 인문사회과학』3, 1956;『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博英社), 1976)
「바카라 라바카지노·신라(高句麗·新羅)의 관계조직(官階組織)의 성립과정(成立過程)」(김철준, 『이병도박사화갑기념논총(李丙燾博士華甲紀念論叢)』, 1956;『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 지식산업사(知識産業社), 1975)
「高句麗王家の上世の世系に就いて」(池內宏, 『東亞學』3, 1940;『滿鮮史硏究』上, 1951)
주석
주1

중국 전한의 정치가(B.C.45~A.D.23). 자는 거군(巨君). 자신이 옹립한 평제(平帝)를 독살하고 제위를 빼앗아 국호를 신(新)으로 명명하였다. 한(漢)나라 유수(劉秀)에게 피살되었다. 재위 기간은 8~23년이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