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탁 ()

유교
인물
고려후기 영해사록, 감찰규정, 성균좨주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천장(天章), 탁보(卓夫)
이칭
탁보(卓甫), 단암(丹巖)
백운(白雲), 역동(易東)
시호
문희(文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62년(원종 3)
사망 연도
1342년(충혜왕 복위 3)
본관
단양(丹陽)
주요 관직
향공진사|영해사록|감찰규정|성균좨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모바일 바카라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후기 영해사록, 감찰규정, 성균좨주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천장(天章) 또는 탁보(卓甫 · 卓夫), 호는 백운(白雲) · 단암(丹巖). 세상에서 ‘역동선생(易東先生)’이라 일컬어졌다. 시조 우현(禹玄)의 7대손으로, 남성전서문하시중(南省典書門下侍中)으로 증직된 우천규(禹天珪)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78년(충렬왕 4) 향공진사(鄕貢進士)가 되고, 과거에 올라 영해사록(寧海司錄)이 되었다. 이 무렵 영해에는 팔령(八鈴)이라 이르는 신사(神祠)가 있었다. 백성들이 그 영험을 믿고 팔령신(八鈴神)을 극진히 받들고 있었으며, 자주 제사지내고 재물을 바쳐 폐해가 막심했는데, 팔령신을 요괴로 단정하고는 신사를 과감히 철폐하였다.

1308년(충선왕 즉위년) 감찰규정(監察糾正)이 되었고,토토 신규가입꽁머니CDA9;토토 신규가입꽁머니C120;토토 신규가입꽁머니C655;이 부왕의 후궁인바카라 오토프로그램C219;바카라 오토프로그램CC3D;바카라 오토프로그램C6D0;바카라 오토프로그램BE44;와 통간하자 백의(白衣)차림에 도끼를 들고 거적자리를 짊어진 채 대궐로 들어가 극간을 하였다. 곧 향리로 물러나 학문에 정진했으나 충의를 가상히 여긴 충숙왕의 여러 번에 걸친 소명으로 다시 벼슬길에 나서서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치사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에는슬롯사이트 업C608;슬롯사이트 업C548;에 은거하면서 후진 교육에 전념하였다. 당시 원나라를 통해 새로운 유학인주1이 수용되고 있었는데, 이를 깊이 연구해 후학들에게 전해주었다. 정이(程頤)가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8FC;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5ED;을 주석한 『정전(程傳)』은 처음 들어왔을 때 아는 이가 없었는데, 방문을 닫아걸고 연구하기를주2만에 터득해 학생들에게 가르쳐주었다.

경사(經史)에 통달했고,바카라사이트ACE0;바카라사이트B824;바카라사이트C0AC;열전에 ‘역학(易學)에 더욱 조예가 깊어 복서(卜筮)가 맞지 않음이 없다.’고 기록될 만큼 아주 뛰어난 역학자였다. 또한 시조 2수와 몇 편의 시가 전하고 있다.

상훈과 추모

조선조에 와서카지노 입플C774;카지노 입플D669;의 발의로 1570년(선조 3) 예안에정품 슬롯사이트5ED;동정품 슬롯사이트11C;정품 슬롯사이트6D0;이 창건되었으나, 1871년(고종 8)에주3당했다가 1966년 복원되었다. 또 다른 서원인슬롯 머신 규칙 구계서원(龜溪書院)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우리카지노추천구내로 옮겨졌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화해사전(華海師全)』
『동국유사(東國遺史)』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양촌집(陽村集)』
『후천집(朽淺集)』
「역동 우탁선생 사상의 연구」(오석원, 『안동문화』5, 1984)
「역동 우탁선생의 학문과 인품」(이완재, 『안동문화』3, 1973)
주석
주1

중국 송나라 때의 정호(程顥), 정이(程頥)와 주희 계통의 성리학을 이르는 말. 송나라 때에 일어난 신유학(新儒學)이다.우리말샘

주2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우리말샘

주3

헐어서 치워 버림.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모바일 바카라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바카라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모바일 바카라]'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