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 ()

목차
관련 정보
조선태조어진
조선태조어진
회화
개념
왕의 얼굴을 그린 그림. 초상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왕의 얼굴을 그린 그림. 초상화.
내용

왕의 초상화를 지칭하는 용어로는 바카라 외에도 진용(眞容) · 진(眞) · 진영(眞影) · 수용(晬容) · 성용(聖容) · 영자(影子) · 영정(影幀) · 어용(御容) · 왕상(王像) · 어영(御影) 등 다양하다. 1713년(숙종 39) 숙종바카라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774;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C774;카지노 슬롯 머신 규칙BA85;의 건의에 따라 ‘바카라’이라는 명칭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당시의슬롯사이트C2B9;슬롯사이트C815;슬롯사이트C6D0;슬롯사이트C77C;슬롯사이트AE30;에 의하면 영자는 왕이 자칭하는 것이므로 신하로서는 감히 칭할 수 없다. 영정은 그 뜻이 회화를 열어 펼친다는 뜻이니온라인 카지노 사이트C871;온라인 카지노 사이트C790;로 꾸며진 것이 아니면 칭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수용이란 단순히 모습을 지칭하는 것이니 부를 바가 못되며, 어용 역시 거칠고 투박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릇 전신(傳神)이란 사진(寫眞)으로 불려 왔다. 또한 왕의 초상화를 봉안하는 처소를카지노 한국인C9C4;카지노 한국인C804;이라 하므로 왕의 화상 역시 바카라이라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이때부터 바카라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어용 역시 조선 말기까지 빈번히 병용되어 왔다.

바카라은 이미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제작되어 왔다. 바카라 제작은 원래주1이 보은사상(報恩思想)에 근거한 추모의 정례로부터 행하여졌다. 하지만 나아가서는 조종 및 국가를 상징하는 의미도 아울러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바카라 제작을 위해서는 군왕 이하 여러 대신,주2 · 토토 바카라 사이트ACF5;토토 바카라 사이트C7A5;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인원의 동원과 세심한 배려가 소용되었다.

바카라 제작은 도사(圖寫) · 추사(追寫) · 모사(模寫)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도사란 군왕의 생존시에 그주3을 바라보면서 그리는 경우에 일컫는 말이다. 추사란 왕의 생존 시에 그리지 못하고 승하한 뒤에 그 용안을 그리는 경우로서 흡사하게 그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 한다. 조선시대의 몇몇 군왕이나 왕세자의 초상화는 이 방식으로 그려졌다. 그리고 전설상의 시조의 용안 역시 한결같이 이 추사 방식에 의거하였다. 모사란 이미 그려진 바카라이 훼손되었거나 혹은 새로운 진전에 봉안하게 될 경우에 기존의 작품을 범본(範本)으로 하여 신본(新本)을 그릴 때에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추사를 제외한 도사 및 모사가 위와 같이 구별되어 사용된 것은 역시 1713년에 이르러서였다. 그 이전에는 이 두 가지가 단순히 화(畫)나 모사(摹寫)라는 용어로 함께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바카라 제작 과정이나 진전 봉안 체제에 관한 세부적인 사실 기록은 다 전존하고 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작품으로는온라인 바카라C804슬롯사이트 업C870;슬롯사이트 업C120;슬롯사이트 업D0DC;슬롯사이트 업C870; 슬롯사이트 업C5B4;슬롯사이트 업C9C4;, 서울 창덕궁의카지노 바카라C601;카지노 바카라C870; 카지노 바카라C5B4;카지노 바카라C9C4; · 토토 사이트 바카라CCA0;토토 사이트 바카라C885; 토토 사이트 바카라C5B4;토토 사이트 바카라C9C4;· 익종바카라 그리고 영조의 연잉군(延礽君) 때의 도사본만이 현존하고 있다.

참고문헌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한국의 초상화』(조선미, 열화당, 1983)
「조선왕조시대의 바카라제작과정에 관하여」(조선미, 『미학』 6, 한국미학회, 1979)
주석
주1

임금의 자손을 높여 이르는 말.우리말샘

주2

예전에, ‘화가’를 이르던 말.우리말샘

주3

임금의 얼굴을 높여 이르는 말.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바카라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