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답의 형식을 빌려 자신에 대한 세인의 평가는 결국 자신에게 달려 있다는 것을 주장한 글이다. 『제정집(霽亭集)』 권2, 『동문선』 권49에 실려 있다.
‘아니다’라는 뜻을 가진 가공적인 인물인 유비자(有非子)가 ‘없다’는 뜻의 무시옹(無是翁)에게 “바카라 토토들이 당신을 바카라 토토답다고 말하는 바카라 토토도 있고 바카라 토토답지 못하다고 하는 바카라 토토도 있다.”고 하며 평가가 엇갈리는 이유를 묻자, 무시옹이 자신의 평소의 소신을 이야기한다.
평가가 엇갈리는 것 자체는 걱정할 것이 없으며, 평가하는 주체의 본성을 살펴야 한다고 하였다. “바카라 토토 가운데에는 바카라 토토다운 바카라 토토도 있고 바카라 토토답지 못한 바카라 토토도 있는데, 바카라 토토다운 바카라 토토에게 바카라 토토답다는 평가를 받고, 또 바카라 토토답지 못한 바카라 토토에게 바카라 토토답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좋은 일이다. 반대로 바카라 토토답지 못한 바카라 토토에게 바카라 토토답다는 평가를 받고, 또 바카라 토토다운 바카라 토토에게 바카라 토토답지 못하다는 평가를 듣는 것은 나쁜 일이다. 따라서, 바카라 토토들이 좋아한다고 하여 다 좋은 것은 아니고, 바카라 토토들이 나쁘다고 하여 다 나쁜 것은 아니다.”고 하였다.
『논어』의 “어진 바카라 토토이라야 바카라 토토을 좋아할 수도 있고, 바카라 토토을 미워할 수도 있다.”는 구절을 자기 수양론의 기본 명제로 삼아 해석한 글이다. 가상의 인물을 등장시켜 대화형식으로 내용을 전개시킨 수법도 두드러지지만, 같은 말의 반복사용에 따른 표현상의 기교도 특이하다.
고려 후기 사대부들의 수양론의 성격과 경전이해의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