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토토 롤링 디시;사
인물
조선후기 영천군수, 양주목사, 공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농학자.
이칭
호중(浩仲)
이지(二知)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00년(선조 33)
사망 연도
1661년(현종 2)
본관
고령(高靈)
주요 관직
호조낭관|영천군수|양주목사|공주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영천군수, 양주목사, 공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농학자.
개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호중(浩仲), 호는 이지(二知). 군수 신석정(申碩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윤(庶尹) 신단(申湍)이고, 아버지는 승지토토사이트C2E0;토토사이트ACBD;토토사이트B77D;이다. 어머니는 파평윤씨(坡平尹氏)로 윤기묘(尹起畝)의 딸이다. 족부 영원군(靈原君) 신경식(申景植)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4년(인조 2)토토 커뮤니티C9C4;토토 커뮤니티C0AC;로서 명경시(明經試)에 응시하여 합격하지 못했으나, 시험관의 천거로 별제(別提)에 제수되었다. 이어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 · 호조낭관 · 옥천현감 등을 역임했고, 1644년 영천군수(榮川郡守)로서토토 롤링 디시C815;토토 롤링 디시C2DC; 바카라 방법BB38;바카라 방법ACFC;에 을과로 급제하여, 춘추관편수관을 겸하였다.

중앙으로 와서는 지평(持平)을 거쳐, 필선(弼善)이 되어 동궁(東宮) 뒤의온라인 바카라D6A8;온라인 바카라C885;을 보도(保導)하였다. 여러 번 문 · 무의 시험을 관장했고 장령(掌令)을 거쳐 1649년슬롯사이트 지니C778;슬롯사이트 지니C870;가 죽자 사성으로서 산릉감역(山陵監役)에 임명되었다. 그 뒤 승지 및 참의에주1되었으나 인척 관계에 있는슬롯사이트 소닉 추천AE40;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790;슬롯사이트 소닉 추천C810;이 죄를 입어 축출되자 연안현감으로 나갔다.

김자점이 역모죄로주2된 뒤 양주목사가 되었는데 역적의 가까운 친척을 관직에 둘 수 없다는 주장이 일어났다. 대사헌바카라 게임D64D;바카라 게임BB34;바카라 게임C801;의 변론으로 논의는 그쳤으나 그 일로 끝내 벼슬은 크게 떨치지 못하였다.

뒤에 공주와 청주의 목사를 연이어 맡았는데 감사와 병사가 잇달아 표창을 건의할 정도로 정사를 잘 돌보았다. 지방관으로서 실무에 힘쓰고 개혁을 하되 급격히 하지 않아 힘들이지 않고 많은 일을 해서 감사 및 병사 · 방어사(防禦使) 등에 자주 천거되었으나 요로에 신속을 아는 사람이 없어 이루어지지 않았다.

7대조바카라 오토C2E0;바카라 오토C219;바카라 오토C8FC;의 문집인온라인 카지노 사이트BCF4;온라인을 1644년에 개간, 보급하였다. 1655년(효종 6) 공주목사로 있을 때토토 로얄B18D;토토의 간행본을 구하기 어려운 것을 한스럽게 여겨 당시의 달라진 속방(俗方)을 첨가하는 한편,주3의 『권농문(勸農文)』 ·슬롯사이트 2025년AE08;슬롯사이트 · 카지노 가입머니 즉시지급C0AC;카지노등을 함께 묶어슬롯사이트 볼트 추천B18D;슬롯사이트을 편찬하였다. 이 책은 신속의 대표적인 업적이며, 17세기 농업기술을 연구하는 데 요긴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농가집성(農家集成)』
『송자대전(宋子大全)』
주석
주1

삼망(三望)의 후보자로 추천하는 일.우리말샘

주2

형벌을 순순히 받아 죽음. 또는 형벌을 순순히 받아 죽게 함.우리말샘

주3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1130~1200). 자는 원회(元晦)ㆍ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ㆍ회옹(晦翁)ㆍ운곡산인(雲谷山人)ㆍ둔옹(遯翁). 도학(道學)과 이학(理學)을 합친 이른바 송학(宋學)을 집대성하였다. ‘주자’라고 높여 이르며, 학문을 주자학이라고 한다. 주요 저서에 ≪시전≫, ≪사서집주(四書集註)≫, ≪근사록≫, ≪자치통감강목≫ 따위가 있다.우리말샘

집필자
이태진(서울토토 롤링 디시;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