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헌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회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회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644년(인조 22) 아들 수억(壽檍)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임도(趙任道)의 서문이 있다. 벽진이씨대종회에 소장되어 있다.

권1에 시 33수, 권2에 소(疏)·서(序) 각 1편, 부록으로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불우한 시대의 영향을 받아 주로 애상조이며, 그 가운데 「송도운(松濤韻)」은 연일 몰아치는 거센 바람과 파도처럼 쉴 사이 없이 계속되는 시대의 불안함을 한탄한 것으로 저자의 우국충정이 깃들여 있다.

소의 「신구부사직정온소(伸救副司直鄭蘊疏)」는 폐비론의 부당함을 주장한 상소 때문에 하옥된 정온을 방면해줄 것을 주청한 것으로, 폐비하는 일의 부당성과 국정에 미칠 부작용 등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서(序)의 「송정수계서(松亭修稧序)」는 뚜렷한 목표 없이 주석(酒席)에서 즉흥적으로 계가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뒷날 원망과 소원의 장으로 돌변됨을 지적한 글이다.

집필자
이순두(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프라그마틱 슬롯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