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제 ()

목차
민간신앙
의례·행사
고구려에서 수신을 모시고 치르던 공동제사 형식의 국가의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구려에서 수신을 모시고 치르던 공동제사 형식의 국가의례.
내용

오늘날의 별신굿이나 도당굿 등 동제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구려신화 및 왕조전설과 결부되어 그 기층구조를 이루었던 제의이기도 하다. 그러한 뜻에서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언급된 가야의 신맞이굿과 함께 무료 슬롯 사이트종교사에서 차지하는 몫이 매우 크다.

그러나 수신은 천신(天神)이 상자에 담겨 하강하였다고 하는 가야와 신라의 신들과는 달라서, 수혈(隧穴;동굴)이라는 성혈(聖穴) 안에 목각신상을 신체(神體)로 하여 모셔진 굴신(窟神)이다.

그리고 수신이 주몽(朱蒙), 즉 동명왕이라고까지 단언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그러나 수신과 신격화된 동명왕은 몇 가지 면에서 상당히 비슷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① 수신이 굴혈신이 듯이 동명왕도 기린굴을 드나드는 신화적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기린굴을 통하여 동명왕은 하늘과 땅 사이를 내왕하였다고 하는 것이다.

② 수신제가 시월에 벌어지는 국가적 규모의 큰 행사이었듯이 동맹(東盟) 역시 같은 시기에 같은 공동체 안에서 치러진 종교행사이었으므로 그 사이에 긴밀한 관계가 있음이 틀림없고, 아울러 동맹은 동명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일부 기록은 동맹을 아예 ‘동명’으로 적어놓았다.

③ 등고신(等高神)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진 동명왕의 신상(神像)이 목각이듯이 수신 역시 목각신상이었다. 이러한 유서한 점으로 말미암아 곧 동명왕과 수신을 동일시할 수는 없겠지만, 그들 사이에서 드러나는 신체상의 공통성으로 미루어보아 그 둘에 관한 종교행사도 성격이 서로 비슷하였으리라고 볼 수 있다.

즉 수신제도 동맹(동명)과 마찬가지로 공동체 내지는 국가의 수호신에게 바쳐진 공동제의이었을 것이며, 그 시기가 시월인 것으로 보아 수확을 기념하면서 풍요를 기원하는 제의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정해진 날에 일정한 절차를 거쳐 신맞이를 하여 제의를 치르고 다시 그 신을 원래의 자리로 송배(送拜;숭배하여 보내는)하는 제의를 벌였다고 하는데, 이러한 절차는 동제의 기본구조와 일치하며 뒷날 고려에까지 전해진 팔관회(八關會)의 원형이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무료 슬롯 사이트의 향토신앙』(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집필자
김열규(서강대학교, 국문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 사이트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무료 슬롯 사이트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무료 슬롯 사이트]'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