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첩 ()

목차
관련 정보
소수박물관 소장 해동명적 권수
소수박물관 소장 해동명적 권수
서예
개념
옛 서가의 법서를 나무나 돌에 새기고 탁본하여 만든 서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옛 서가의 법서를 나무나 돌에 새기고 탁본하여 만든 서첩.
내용

첩이라는 것은 본래 깁에 글씨를 쓴 것을 뜻하나 안권(案卷)이나 증서(證書)도 첩이라 하였기 때문에 옛사람들의 묵적(墨蹟)으로서 본받을 만한 법서를 모(模)하여 돌이나 나무에 새겨 이것을 보고 글씨를 배우게 하였다.

사설 카지노의 시초는 중국 남당(南唐) 후주(後主)가 소장한 고금법서(古今法書)를 돌에 새겨 ‘승원첩(昇元帖)’이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송나라 때의 ≪순화각첩 淳化閣帖≫보다도 앞서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사설 카지노의 종류도 많아지고 번각(飜刻 : 다시 새김)에 모각을 거듭함에 따라 사설 카지노의 진실성이 점차 그 의미를 잃어가서 사설 카지노의 가치는 점차 떨어져갔다.

이와 함께 사설 카지노에 관한 연구가 하나의 학문으로 성립되었는데, ≪사설 카지노간오 法帖刊誤≫라든가 ≪사설 카지노보계 法帖譜系≫·≪사설 카지노석문 法帖釋文≫·≪사설 카지노석문고이 法帖釋文考異≫ 등 사설 카지노에 관한 연구서들이 속출하게 되었고, 연구의 깊이가 더욱 발전하여 첩학(帖學)과 비학(碑學)으로 양분되는 학문체계가 성립되기에 이르렀다.

우리 나라의 역대사설 카지노은 안평대군(安平大君)의 ≪비해당집고첩 匪懈堂集古帖≫이 가장 이른데, 현재 전해지는 것은 드물다. 그리고 신공제(申公濟)의 ≪해동명적 海東名蹟≫, 이우(李俁)의 ≪관란정첩 觀瀾亭帖≫, 이지정(李志定)의 ≪대동서법 大東書法≫, 박문회(朴文會)의 ≪고금역대사설 카지노 古今歷代法帖≫, 백두용(白斗鏞)의 ≪해동명가필보 海東名家筆譜≫ 등을 유명한 사설 카지노으로 꼽을 수 있다.

이외에 역대 간찰(簡札:편지글)을 수집하여 놓은 것까지도 합하면 그 수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지만 이들은 모두 묵적을 그대로 모은 것들이며 나무나 돌에 모각한 것은 아니다. 오세창(吳世昌)의 ≪근역서휘 槿域書彙≫와 ≪근묵 槿墨≫은 바로 역대 간찰을 집대성한 대표적인 책이다.

사설 카지노은 진적(眞蹟)을 모각한 것이기 때문에 모각하는 과정에서 진적과 똑같게 되지 않을 가능성은 있지만 진적으로 전해지지 않는 법서는 사설 카지노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 의의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우리 나라의 여러 사설 카지노 중에는 대부분 중국의 사설 카지노을 번각한 것이 많아 그 가치는 평할만한 것이 못된다.

다만 ≪대동서법≫과 ≪해동명가필보≫는 우리 나라의 역대 묵적을 모각한 것으로서 주목되는데, ≪대동서법≫은 중국의 사설 카지노처럼 음각(陰刻)하여 백문(白文)으로 되었고, ≪해동명가필보≫는 양각(陽刻)하여 묵적을 그대로 보는 것 같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응현(서예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