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와 『선원제전집도서』에 대한 주석서는 한동안 필사본의 형태로 유통되다가 그의 사후인 1747년에 처음으로메이저카지노사이트BAA9;메이저카지노사이트D310;메이저카지노사이트BCF8;으로 간행되었다.
회암의 문인 용암 채청(龍巖彩晴)의 제자 풍곡 총활(豊谷總濶)이 스승의 뜻을 받들어 여러 사본을 수집, 대조하고, 문중의 어른인 우암 호경(雨巖護敬)과 당시의 대표적 선장(禪匠)인 함월 해원(涵月海源, 1691~1770)의 검토를 거쳐, 함경북도 길주군 성불산(成佛山) 길상암(吉祥庵)에서 간행했다.바카라 토토D310;바카라 토토BAA9;은 안변바카라 토토 사이트C124;바카라 토토 사이트BD09;바카라 토토 사이트C0B0; 바카라 토토 사이트C11D;바카라 토토 사이트C655;바카라 토토 사이트C0AC;에 두었다. 이어 10년 후인 1757년(영조 23)에는 경상남도 안음현(거창군 마리면과 함양군 안의면 일대) 덕유산(德裕山) 장수사(長水寺)에서 이 책을 다시 간행한 후 판목은 성주(星州) 불영산 청암사(靑巖寺)에 두었다. 이 1757년 간행본에는 용암 채청이 지은 「회암대사행적」이 추가로 수록되었다. 길상암본과 청암사본 모두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책의 서두에서 하택종, 홍주종, 우두종, 북종 등 4종의 가르침을 모았으므로 '법집'이라 하고, 그중에서도 하택종의 뜻을 특별히 드러냈으므로 '별행(록)'이라고 하였다고 제목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다. 이어서 책 전체의 구조를 나누어 제시하고, 각 단락별로 과도(科圖)와 해설을 제시하였다.
전체는 서론에 해당하는 총현대의(總顯大意), 본론 부분인 정시법요(正示法要), 결론 부분인 결권관행(結勸觀行)의 3단으로 나누었으며, 이를 다시 세분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본론의 정시법요 부분은 인체중현변자심(引體中玄卞自心)과 인구중현견불법지견(引句中玄遣佛法知見) 두 가지로 구분했다.
정혜는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의 중심 내용을 체중현과 구중현으로 설명하였는데, 중하근기는 체중현, 즉 올바른 교학을 통해 깨닫음을 얻고, 상근기는 구중현, 즉 화두를 연구하여 지견(知見)의 병을 제거하고 구경의 경지에 도달한다고 이야기한다. 이로 인해 후대의 승려들은 그가 이현(二玄)으로 이 책을 해석하였다고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