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참의, 우부승지, 병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헌(仲憲)
죽창(竹窓), 용탄산인(龍灘散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6년(인조 4)
사망 연도
1690년(숙종 16)
본관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
주요 관직
부령부사|형조참의|우부승지|병조참판
관련 사건
경신대출척|기사환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참의, 우부승지, 병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중헌(仲憲), 호는 죽창(竹窓)·용탄산인(龍灘散人). 아버지는 진사 박욱(朴有+彧)이며,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로 이광림(李光林)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48년(인조 26) 진사시에 합격하고 1663년(현종 4)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 사섬시직장(司贍寺直長)을 제수받고 의금부도사·감찰·공조좌랑을 거쳐, 1666년에 청안현감(淸安縣監)을 지냈다.

1672년 전적(典籍)·병조정랑을 거쳐 1673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이어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면서부터 지평 네 차례, 정언 세 차례를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남인에 의카지노 꽁 머니 곤경에 빠진 송시열(宋時烈)을 변호하다가 죄를 얻어 청주도사(淸州都事)로 좌천되고, 뒤에 황주판관(黃州判官)으로 옮겼다.

1680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서인이 다시 집권하자, 승진카지노 꽁 머니 지평·병조정랑·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내고 1683년 부령부사(富寧府使)가 되었다. 당시 조정에서는 이곳을 할읍(割邑: 읍을 나눔)카지노 꽁 머니 새로이 무산부(茂山府)를 설치하려고 백성으로부터의 역역(力役: 몸으로 일을 하는 국가의 역)을 빈번히 징발하였는데, 이때 박원도는 마포(麻布) 3,000필로써 고마(雇馬: 민간에게서 말을 빌려씀)카지노 꽁 머니 백성의 부담을 크게 완화시켰다.

1684년 장례원판결사, 그 뒤 형조참의·우부승지·병조참판·형조참판 등을 거쳐, 자청카지노 꽁 머니 부평현감으로 나아갔다.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다시 정권을 잡자, 벼슬을 버리고 두문불출하면서 독서로 생애를 마쳤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현종개수실록(顯宗改修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카지노 꽁 머니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카지노 꽁 머니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