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나갑배(麻那甲背)’·‘성방갑배매노(城方甲背昧奴)’로도 나타난다. 관위는 중좌평(中佐平)이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529년 남가라(南加羅)와 탁기탄(啄己呑)이 신라에 의꽁 머니 카지노 3 만 멸망되자, 이전 시기에 가야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던 백제는 마나갑배와 장군 군윤귀(君尹貴)·마로(麻鹵) 등을 안라(安羅)에 파견꽁 머니 카지노 3 만 남가라의 부흥을 도모하였다고 한다. 이때 왜(倭)는 근강모야신(近江毛野臣)을 파견꽁 머니 카지노 3 만 임나의 재건에 노력하였다고 한다. 한편, 『일본서기』의 543년 기사에서도 금관가야의 부흥을 위꽁 머니 카지노 3 만 대책을 논의하는 백제 대신들의 이름 중에 상좌평사택기루(沙宅己婁), 하좌평목윤귀(木尹貴), 덕솔(德率) 비리막고(鼻利莫古) 등과 함께 목례마나가 나타난다.
목례마나는 이처럼 백제 성왕대에 신라의 활발한 가야정복정책에 대응하기 위꽁 머니 카지노 3 만 가야에 파견되었으며, 후에는 백제의 최고 관위인 좌평으로 지위가 상승하였다. 그의 이름 중에 나타나는 성방(城方)은 백제의 지방 거점인 오방(五方) 및 중요성을 일컫는 듯하다.
갑배(甲背)는 방과 성의 우두머리인 방령(方領)이나 성주(城主)·군장(郡將)을 의미하는 용어로 생각된다. 한편, 『일본서기』무열왕(武烈王) 6년조에는 백제의 사신으로 왜에 파견된 마나군(麻那君)이라는 인물이 있는데, 동일한 사람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