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권 4책. 연활자본. 1909년 그의 아들들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장석룡(張錫龍)의 서문과 권말에 장승택(張升澤)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에 조양자이진양위귀(趙襄子以晉陽爲歸) 등 35개 카지노 쪽박걸, 권2에 소현등책문개면관사(召顯等責問皆免冠謝) 등 35개 카지노 쪽박걸, 권3에 환산강시서습조두(還山講詩書習俎豆) 등 24개 카지노 쪽박걸, 권4에 이혼위상공준위중공(以渾爲上功濬爲中功) 등 26개 카지노 쪽박걸, 권5에 유동환(裕東還) 등 30개 카지노 쪽박걸, 권6에 풍태후조위주애훼과례(馮太后殂魏主哀毁過禮) 등 27개 카지노 쪽박걸, 권7에 제주연입기제잠(齊主演立其弟湛) 등 25개 카지노 쪽박걸, 권8에 부소찬위징비부(踣所撰魏徵碑) 등 25개 카지노 쪽박걸, 권9에 이보국천태상황(李輔國遷太上皇) 등 37개 카지노 쪽박걸, 권10은 장준토이극용(張濬討李克用) 등 36개 카지노 쪽박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기술형식을 보면, 먼저 각 카지노 쪽박걸 밑에 세자(細字)로 사실(史實)에 입각한 기사(記事)를 싣고, 본문에는 자신이 보는 역사적 관점으로 이를 해설하고 있다. 따라서 기사보다는 해설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설에 임하는 저자의 기본 입장은 『춘추(春秋)』의 정신에 입각해 역사적 인물 및 사건에 대한 의리와 명분론(名分論)을 내세우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주희(朱熹)가 쓴 『자치통감강목』과도 상통하는 정신임을 알 수 있다.
비록 중국의 역사를 기술한 것이기는 하지만, 내용의 설정과 해설은 한말 우리나라의 비참한 시대적 상황을 인식, 세교(世敎)를 염두에 두고 쓰여진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