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문집 ()

목차
관련 정보
농수문집
농수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천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4년에 간행한 시문집.
이칭
이칭
농수유고(農叟遺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천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1784년(정조 8) 문인인 최기대(崔基大)와 이학해(李學海) 등이 편집, 간행슬롯사이트 업 ‘농수유고’라 하였는데, 1896년 방손인 홍식(洪植)과 세윤(世允) 등이 다시 중간한 것이다. 권두에 권엄(權儼)의 초간서(初刊序)가 있고, 권2에 이중구(李中久)의 중간서(重刊序)와 권말에 김재인(金載人)·이헌락(李憲洛)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2수, 서(書) 15편, 부록인 권섭서도망작(權葉西悼亡作)·묘지명, 권2에 서(序) 3편, 기(記) 4편, 행장 1편, 명 1편, 설 1편, 제문 2편, 부 1편, 서(書) 19편, 부록으로 왕복서 7편, 심우기(心友記)·축문·상량문·행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격이 높고 음절이 씩씩슬롯사이트 업 한나라와 당나라의 시와 같다고 슬롯사이트 업, 선조 때의 유희경(劉希慶) 이후 제일이라는 평을 받는다.

「제언기(堤堰記)」는 1761년(영조 37) 김영수(金永綬)가 군수로 부임슬롯사이트 업 제언을 쌓은 전말과 그의 공적을 기록한 것으로, 물을 가두어 두었다가 가뭄을 막은 공덕을 칭찬하고 물은 민생의 생활과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설명한 글이다.

「삼강비명(三綱碑銘)」은 임진왜란 때 의주행재소에서 왕명에 의해 영남의 적진을 정탐하고 돌아가던 중 충주에 이르러 적에게 참살된 사헌부감찰 이희룡(李希龍)과 이 비보를 듣고 시체를 찾으러 와서 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아들 문진(文軫), 시아버지와 남편의 시체를 찾으려다가 죽은 김씨의 사적을 기록한 것으로, 세 사람의 사실을 서술슬롯사이트 업 충·효·열을 높이 찬양하였다.

이밖에도 임진왜란 때 부산 다대포 앞바다에서 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권복흥(權復興)의 사적을 기록한 「권공행장(權公行狀)」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사이트 업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슬롯사이트 업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