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군 ()

조선시라바 카지노;사
인물
조선 후기 제16라바 카지노; 왕인 인조의 서(庶)2남.
이칭
본명
이숙(李潚)
자숙(子淑)
시호
정헌(靖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1년(인조 19)
사망 연도
1695년(숙종 21)
본관
전주(全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낙선군은 제16대 임금 인조의 서2남으로 귀인 조씨의 소생이다. 동복 형제는 형 숭선군(崇善君), 누이 효명옹주(孝明翁主)이다. 8세에 군으로 책봉되었지만, 효종 초에 김자점의 역모에 연루되면서 군호가 삭탈되고 강화에 위리안치되었다. 1656년 효종이 서울로 불러들여 다음 해에 김득원(金得元)의 딸과 혼인시켰고, 2년 후에 군호도 회복시켰다. 의창군의 양자로 출계되었으나, 그도 후사가 없어 임양군(臨陽君)을 양자로 삼았다.

정의
조선 후기 제16라바 카지노; 왕인 인조의 서(庶)2남.
가계 및 인적 사항

낙선군은슬롯사이트 지니C778;슬롯사이트 지니C870;의 후궁 귀인 조씨(貴人趙氏)의 소생으로 1641년(인조 19)에 태어나 1695년(숙종 21) 55세에 사망라바 카지노다. 이름은 숙(潚), 자는 자숙(子淑), 시호는 정헌(靖憲)이다. 어머니 귀인 조씨는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를 지낸무료 바카라 게임C870;무료 바카라 게임AE30;의 서녀로 궁인으로 들어와서 종1품 귀인에까지 올랐으며, 2남 1녀를 두었다. 동복 형제로는 형슬롯 머신C22D;슬롯 머신C120;슬롯 머신AD70;과 누이슬롯사이트 지니D6A8;슬롯사이트 지니BA85;슬롯사이트 지니C639;슬롯사이트 지니C8FC;가 있다.

1648년(인조 26)에 8세가 되자 전례대로 군(君)에 책봉되었다. 이듬해에 인조가 사망하자온라인 바카라D6A8;온라인 바카라C885;은 아버지를 잃은 어린 아우를 불쌍히 여겨서 노비 150구를 내려주었다. 그러나 1651년(효종 2) 김자점의 역모에 연루되어 군호를 박탈당라바 카지노고, 1652년 강화도에주1되었다.

나이 17세인 1657년(효종 8)에 효종이 서울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이듬해에토토 추천BD09;토토 추천C0AC;) 증(贈) 영의정 김득원(金得元)의 딸과 혼인시켰는데,슬롯사이트 지니C778;슬롯사이트 지니D3C9;슬롯사이트 지니B300;슬롯사이트 지니AD70;주2로 삼았다. 2년 후인 1659년(효종10)에 군호가 회복되었다.

낙선군은 선조의 서8남 의창군의 양자로주3되었다. 하지만 그 역시 후사가 없어서 선조의 서9남 경창군의 증손인 서원군(西原君) 환(桓)을 임양군(臨陽君)으로 바꾸어 양자로 삼았다.

주요 활동

군호를 회복한 이후에 종친으로서 왕실의 일에 참여라바 카지노다.토토 사이트 바카라D604;토토 사이트 바카라C885;은 온양 온천에 자주 거둥라바 카지노다. 1666년(현종 7) 현종이 온천에 두 번이나 거둥라바 카지노는데, 3월에는 어가를 호종하고 12월에는 도성에 머물러서주4를 하사받았다. 1667년, 1668년, 1669년에도 계속 어가를 호종라바 카지노다. 1670년(현종 11)에는 세자(훗날 숙종)의 관례에 주인(主人)으로 참여라바 카지노다. 1688년(숙종 14)에는 대왕대비인해시 게임 바카라C7A5;해시 게임 바카라B82C;해시 게임 바카라C655;해시 게임 바카라D6C4;가 위중하자 숭선군과 함께 내전에서 입숙하면서 시약라바 카지노다.

그는 군호를 회복한 이후에 정치적 문제에 휘말리지 않으면서 종친의 의무를 다라바 카지노다. 숙종은 1695년(숙종 21)에 낙선군이 사망하자 그를 위해주5에 나가주6라바 카지노고, 장지를 양주 청송면에 내려 주었다. 1699년에는 시호를 내렸다.

참고문헌

원전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선원록(璿源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인조실록(仁祖実錄)』
『현종실록(顯宗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논문

나영훈, 「17세기 중반 낙선군 이숙의 생애와 혼례의 특징」(『동서인문학』 55, 계명대 인문과학연구소, 2018)
주석
주1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우리말샘

주2

혼사를 맡아 주관하는 사람.우리말샘

주3

양자로 들어가서 그 집의 대를 이음.우리말샘

주4

안장을 얹은 말.우리말샘

주5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창덕궁 건물의 하나. 본래 침전이었으나 조선 후기와 대한 제국 시기에 왕의 집무실로 사용되었다. 한식과 서양식이 어우러진 건물로, 시대의 변천을 엿볼 수 있다. 우리나라 보물이다.우리말샘

주6

상례에서, 죽은 사람의 혼을 부르고 나서 상제가 머리를 풀고 슬피 울어 초상난 것을 알림. 또는 그런 절차.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