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문서는 모두 3점으로, 교서 1점, 교지 2점이다.
김중만은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훈을 세워 분무이등해시 게임 바카라(奮武二等功臣)으로 녹훈되었다. 1728년(영조 4) 3월에 무신난이 일어났는데, 이 난은 이인좌와 정희량(鄭希亮)이 각각 주동이 되어 일으켰기 때문에 이인좌 · 정희량의 난이라고도 한다. 이인좌와 정희량이 난을 일으킨 목적은 영조를 폐하고 밀풍군(密豐君)을 옹립하려는데 있었으나 난을 일으킨 지 20여 일 만에 진압되었다. 영조는 난을 평정하고 역란(逆亂)의 전말을 팔도에 반포하고 무신감난록(戊申勘亂錄)의 편찬을 명하였고, 오명항(吳命恒) 등 15명을 분무해시 게임 바카라으로 책정하여 가자 및 봉군으로 녹훈하였고, 그해 7월 15일에는 분무원종해시 게임 바카라 9000여명에게 녹권을 하사하였다.
김중만은 양성인(陽城人)으로 안성, 양성 등지의 사대부들이 중심이 된 취병(聚兵) 상황과 난을 일으키기 위한 모의 사실을 소상하게 고변(告變)함으로서 난의 평정에 크게 공을 세워 녹훈되었다. 언성군(彦城君)에 봉해졌다.
1728년 7월에 작성된 교서(敎書, 해시 게임 바카라록)에는 1등 해시 게임 바카라에 오명항, 2등 해시 게임 바카라에 김중만 · 박찬신(朴讚新) · 박문수(朴文秀) 등 7명, 3등해시 게임 바카라에 이수량(李遂良) 등 7명, 합 15명의 해시 게임 바카라명단이 적혀있다. 분무2등 해시 게임 바카라에 책훈된 김중만에게 2계급의 품직을 올려주고 적장자(嫡長子)가 그 녹을 세습하도록 하며, 노비 · 전답 · 은자(銀子) · 내구마(內廐馬) 등을 하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두루마리 형태로 가로 286cm, 세로 44cm이며 뒷면에는 ‘李善行製崔重大書(이선행제 최중대서)’라고 쓰여 있어 글을 작성한 자와 쓴 자를 알 수 있다.
교지는 2장으로, 하나는 1729년(영조 5) 7월에 작성된 전답사패교지(田畓賜牌敎旨)이고, 다른 하나는 동년 9월 11일에 작성된 노비사패교지(奴婢賜牌敎旨)이다. 두 교지는 모두 전년도에 작성된 해시 게임 바카라록의 내용과 관련있다. 그러나 교서의 내용과는 달리 전답의 경우 전 14결 50부, 답 9결 20부로 전 80결에 못 미친 반면, 노비의 경우는 노 16구, 비 18구로 9구에 비해 더 많은 수가 내려졌다.
이 문서는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의 김병석이 소장하고 있고, 1981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자료를 통해 분무 해시 게임 바카라들에 대한 포상 및 무신란의 성격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