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웅 ()

불교
인물
고려 전기에, 삼중대사, 선사, 대선사 등을 역임한 승려.
이칭
응물(應物)
묘응(妙應)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076년(문종 30)
사망 연도
1142년(인종 20)
출생지
평양
주요 관직
대선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전기에, 삼중대사, 선사, 대선사 등을 역임한 승려.
개설

성은 박씨(朴氏). 호는 묘응(妙應), 자는 응물(應物). 평양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9세에 출가슬롯 꽁 머니 장경사(長慶寺)석찬(釋贊)의 제자가 되었고, 1089년(선종 6)불일사(佛日寺)에서 비구계(比丘戒)를 받았다. 석찬이 죽은 뒤 쌍봉사(雙峰寺)의 익종(翼宗)을 스승으로 섬겼다.

그때 대각국사(大覺國師)가 처음으로 천태종을 일으켜 교관(敎觀)을 선양할 때 스승 익종과 함께 국청사(國淸寺) 대각국사의 강석(講席)에서 천태의 종지(宗旨)를 배우고 명성을 떨쳤다. 1109년(예종 4) 대각국사가 주맹(主盟)이 되어 나라에서 처음으로 천태종 대선(大選)을 열었을 때, 이에 응시슬롯 꽁 머니 상상품(上上品)에 올라 대덕(大德)이 되었다.

그뒤 국청사에서 복강사(覆講師)로서 경론을 강의슬롯 꽁 머니 학인들을 가르쳤고, 천태의 종풍(宗風)을 드날리다가 수년 뒤 홍주(洪州)의 백암사(白嵒寺)로 갔다. 그때 어떤 사람의 시기를 받아 귀양간 것이라고도 전하고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그곳에서 7년 동안 머물면서 천태학(天台學)뿐만 아니라 화엄학·유가학(瑜伽學)·유학·노장학·의학·음양설에 이르기까지 깊이 연구함으로써 그 수행과 학덕이 더욱 높아졌다.

예종 때에는 삼중대사(三重大師)·선사가 되었고, 인종 때에는 대선사(大禪師)가 되었으며, 67세로 입적하였다. 문하에는 덕소(德素)를 비롯슬롯 꽁 머니 134인이 있었다.

참고문헌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집필자
정병조(둥국대학교, 불교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슬롯 꽁 머니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슬롯 꽁 머니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