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쟁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시대 국왕의 잘못된 명령과 행위에 대해 언관(言官)이 비판하는 행위.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982년(성종 1)
시행 시기
고려시대, 조선시대
폐지 시기
1894년(고종 31)
시행처
고려 왕조, 조선 왕조
주관 부서
중서문하성, 어사대, 사간원, 사헌부, 홍문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 머신은 고려·조선시대 국왕의 잘못된 명령과 행위에 대해 언관(言官)이 비판하는 행위이다. 원래 슬롯 머신은 간관(諫官)이 수행하는 기능이지만, 대관(臺官)도 담당하였고 홍문관(弘文館)이 참여하기도 하였다. 슬롯 머신은 직접 말로 하거나 문서를 작성하여 올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슬롯 머신은 왕권의 잘못된 행사를 견제하는 성격이 있었다.

정의
고려 · 조선시대 국왕의 잘못된 명령과 행위에 대해 언관(言官)이 비판하는 행위.
제정 목적

왕조 사회의 정치는 국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국왕의 명령과 행위가 잘못된 경우 국정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슬롯 머신은 국왕의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명령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내용

슬롯 머신(諫諍)은 국왕의 명령과 행위에 대한 비판을 하는 것이이므로바카라 따거AC04;바카라 따거AD00;이 담당하였다 그러나 슬롯 머신 · 조선시대에는 시정의 잘잘못을 논하고 신료의 잘못에 대한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D0C4;슬롯사이트 소닉 메이저D575;토토 바카라AC10;토토 바카라CC30;을 담당한슬롯사이트 지니B300;슬롯사이트 지니AD00;도 슬롯 머신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간관과 대관은 각각 따로 슬롯 머신하기도 하였고,슬롯 사이트B300;슬롯 사이트AC04;으로 합쳐 슬롯 머신하기도 하였다. 간관과 대관이 모두 슬롯 머신을 하거나 대간이 함께 슬롯 머신을 하는 것은 송(宋)나라 제도로서 고려 중기에 수용되어 조선에 계승된 제도이다.

간관은 슬롯 머신의바카라 카지노C911;바카라소속의토토 대박B0AD;토토 대박C0AC;와 조선의슬롯 머신 게임C0AC;슬롯 머신 게임AC04;슬롯 머신 게임C6D0;관원이 있었고, 대관은 슬롯 머신의바카라C5B4;바카라C0AC;바카라B300;와 조선의슬롯 사이트C0AC;슬롯 사이트D5CC;슬롯 사이트BD80;관원이 있었다. 더하여 조선시대에는꽁 머니 카지노 3 만D64D;꽁 머니 카지노 3 만BB38;꽁 머니 카지노 3 만AD00;도 슬롯 머신을 담당하여 대간과 함께 언론삼사(言論三司)라 불리기도 했다.

슬롯 머신은 그 방법과 정도에 따라 돌려서 비유로 간하는주1, 온순한 말로 하는 순간(順諫), 면전에서 곧게 하는주2, 시비를 다투며 간하는주3, 목숨을 돌보지 않고 하는 함간(陷諫)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또한 슬롯 머신은 국왕에게 직접 말로 할 수도 있었고 글을 통해서 할 수도 있었다. 글로 슬롯 머신하는 경우, 고려시대에는 주로 소(疏)를 이용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소와 계(啓) 등을 활용하였다.

의의 및 평가

고려 · 조선시대의 슬롯 머신은 왕권의 잘못된 행사를 견제하는 기능을 하였다. 그러나 국왕의 정당한 명령이나 행위에 대해 다투는 것은 아니어서 단순히 신료가 왕권을 제약했던 제도로 볼 것이 아니라 국정의 합리적 운영을 위해 만든 제도로 보아야 한다.

참고문헌

원전

『슬롯 머신사(高麗史)』
『슬롯 머신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단행본

변태섭, 『슬롯 머신정치제도사연구』(일조각, 1971)
최승희, 『조선초기 언관·언론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1973)
박용운, 『슬롯 머신시대 대간제도 연구』(일지사, 1980)
박용운, 『슬롯 머신사 백관지 역주』(신서원, 2009)
박재우, 『슬롯 머신전기 대간제도 연구』(새문사, 2014)
주석
주1

오간(五諫)의 하나. 완곡한 표현으로 잘못을 고치도록 간함을 이른다.우리말샘

주2

오간(五諫)의 하나. 임금이나 웃어른에게 잘못된 일에 대하여 직접 간함을 이른다.우리말샘

주3

다투어 간함. 또는 그런 말.우리말샘

주4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